본문 바로가기
경제

북미 자동차 수출 감소, 현기차 분발하자!

by dogmoney 2025. 4. 16.
728x90

2025년 3월, 북미 자동차 수출 감소…전기차 수요는 ‘선방’ 🚘

고금리와 소비심리 위축, 공급망 불안 등 복합적인 악재 속에서
2025년 3월 한국의 북미 자동차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SUV와 전기차 수요는 일부 유지됐지만, 전체 수출 대수와 금액 모두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.


📉 북미 자동차 수출, 왜 줄었나?

북미 수출 감소의 배경에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이 있습니다:

  1. 미국 금리 고공 행진
    → 차량 구매심리 위축
  2. IRA(인플레이션 감축법) 효과 감소
    → 전기차 보조금 조건 강화로 일부 소비 위축
  3. 국내 생산 차질
    → 일부 공장 가동률 감소, 수출 물량 축소

📌 특히 중소형 세단과 내연기관차 수출 부진이 수치를 끌어내린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.


⚡ 전기차 수출은 비교적 선방

전체적으로는 감소세지만, 전기차 수출은 비교적 선방했습니다.

  • 현대차 아이오닉5, 기아 EV6
  • 미국 내 인지도가 높고 상품성도 우수
  • IRA 규제에도 불구하고 고효율·디자인 강점으로 판매 유지

🚗 전기차는 전체 수출 물량의 약 27~28% 수준으로 전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한 수준입니다.


🚙 SUV, 수요는 있지만 경쟁 치열

SUV는 북미 시장의 대표 차종으로 여전히 수요는 높지만
북미 완성차 브랜드와 경쟁이 심화되며,
한국산 SUV 수출도 일부 조정세를 보였습니다.

  • 텔루라이드, 팰리세이드 등 인기 모델은 여전히 견조
  • 그러나 재고 조정 및 환율 변수가 영향을 줌

📉 SUV 전체 수출 비중은 여전히 높지만, 전년 대비 증가폭은 둔화됐습니다.


📊 2025년 3월 북미 자동차 수출 요약

항목실적전년 동월 대비
수출대수 감소 약 ▲6~8%
수출금액 감소 약 ▲4~7%
전기차 비중 유지 또는 소폭 증가 +1~2%p
SUV 수요 수요 유지 경쟁 심화로 정체

전체적인 수출은 줄었지만, 전기차와 일부 고가 SUV는 선방하며 하락 폭을 다소 줄이는 역할을 했습니다.


🔍 향후 관전 포인트는?

1. 북미 현지 생산 본격화

  • 현대차·기아의 미국 현지 전기차 공장이 곧 가동 예정
  • IRA 대응 및 물류비 절감 효과 기대

2. 하반기 신차 투입

  • 기아 EV9, 현대차 신형 SUV 등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수출 확대 계획

3. 소비 회복 여부

  •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회복 여부에 따라 하반기 수출 전망 달라질 수 있음

📝 마무리

2025년 3월 북미 자동차 수출은 외형적으로는 감소세를 보였지만,
전기차와 SUV 중심의 전략은 그나마 방어력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앞으로는
✔️ 현지 생산 체제 안정화
✔️ 글로벌 경기 회복
✔️ 신차 라인업 확대
이 세 가지가 북미 시장에서 다시 반등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.